위성 자료 처리 단계 Level 0-3에 걸친 위성 관측자료는 날씨 예보 및 장기 기후연구의 중요한 입력 자료가 된다.
이를 위해 일관성을 가진 높은 정확도의 관측자료 확보가 최우선적으로 요구되며, 본 연구실에서는 Level 0-2 단계에 걸친 위성자료의 검보정 및 지구물리변수 산출에 초점을 맞추어 대기과학을 위한 위성 자료 활용도 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세계 최초 정지궤도 환경위성 GK-2B 탑재체의 신뢰도 높은 자료 제공을 위해 원시 관측 자료의 검보정 및 모니터링에 관한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관측된 기상위성자료(GK-2A)를 활용하여 실제 지구물리변수(대기의 연직온습도 및 오존(O3) 프로파일, 대기안정도 지수 등)를 산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관측 기술의 발전에 따른 시공간 및 고분광해상도의 관측자료 확보가 용이해짐에 따라 기존 방식의 지구물리변수 산출 과정에서 계산 비용이 증가한다.
→ 계산 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높은 정확도 확보를 위해 딥러닝 기법을 적용한 가강수량 산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날씨 예측을 위한 수치 모델에 활용하기 위해 다양한 기반의 위성 및 지상 기반의 자료를 활용하고 있으며, 자료 동화 과정에서 오차를 최소화하고 관측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위성의 특성 평가, 필터링 등 품질 분석을 수행 중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