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창현 교수
<대기정체에 의한 에어로졸 농도 이상현상 분석>
연구분야
<대기정체에 의한 에어로졸 농도 이상현상 분석>
에어로졸 농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대기수송의 역할과 상호작용을 이해하기 위해 대기정체를 탐지하고 대기파동의 역학적 과정을 이해한다.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공간적으로 큰 범위, 시간적으로 계절 내 이상의 범위에 관한 연구>
1차년도 - 대기파동 쇄파(Wave breaking) 탐지기법 준비
2차년도 - 대기파동 쇄파 탐지 정교화
3차년도 - 대기정체의 역학적 과정 이해
*Atmospheric blocking (대기정체)
편서풍 지대의 경우 바람이 서풍으로 부는데, 이 때 바람이 구불구불 치고 크게 꺾이면서 고기압이 자리에 오랫동안 유지(정체)되는 현상
이러한 현상은 약 일주일 정도 유지되며, 지면에 오랫동안 유지되기 때문에 지면 기후에 큰 영향을 준다.
Diport type
고기압, 저기압이 동시에 자리 잡으면서 형성되는 유형
Omega type
오메가(Ω) 모양대로 꺾여지는 유형
평상시 바람이 서쪽으로 부는 형태에서 바람이 약해지고 남북 방향의 바람이 강해져 위로 올라가는 현상
세부연구주제
1차년도 - 대기파동 쇄파 탐지
대기정체 탐지 기술 재생산을 위해 대기파동 쇄파를 탐지하는 연구
가장 간단한 Tibaldi and Molteni(1990) 방식으로부터 시작, 2차원적으로 확장하여 위도에 대한 정보를 생산, 저위도를 보정한 Davini(2012)의 방식 사용
복잡하지만 정교하게 대기정체된 위치를 탐지하고 관찰된 현상을 탐지하는 연구
*Tibaldi and Molteni(1990)
가장 단순하고 많이 사용됨
구성이 매우 간단하며 필터링 등의 계산 과정이 없기 때문에 현업에서 활용 가능
주어진 경도에서 대기정체가 발생되었는지 지위고도의 역전을 대상으로 탐지
기준 위도에 대해 경도 방향 정보만 제공하는 한계점 존재
2차년도 - 대기파동 쇄파 탐지 정교화
탐지된 index를 대상으로 연구 진행
대기정체 발생과 한반도 미세먼지 농도 간 통계적 관계 분석
> 대기정체는 태평양, 대서양, 우랄산맥 지역에서 자주 발생
위 지역에서 대기정체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달에 한반도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지는 현상 관찰
>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졌을 때 한반도의 풍향은 남서풍, 풍속은 감소됨
(단, 봄철에는 그 패턴이 달라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졌을 때 풍향은 서풍 혹은 북서풍, 풍속은 오히려 증가함)
미세먼지 장기추세변화 분석
> 한반도 지역의 PM10 고농도 월별일수는 점진적으로 감소
계절별 변화 분석
> 미세먼지 고농도 발생일 겨울철 약 4일간, 봄철 약 5일간 지속
3차년도 - 대기정체 역학 이해
"대기정체현상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는 연구"
대기원격상관패턴 위상에 따른 대기정체 발생빈도 변화가 뚜렷하다.
> 태평양에서 가장 활발한 변동성을 보이는 음( - )의 PNA(Pacific-North America oscillation, 동태평양진동) 위상일 때 태평양 지역의 대기정체 발생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
PNA가 왜 자주 발생하는지, 어떻게 음( - )의 위상을 가지는지 예측한다면 대기정체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PNA 발달의 역학 과정에 대한 연구 진행 중
계절 내 변동성을 활용한 여름철 계절 내 통계예측기술 개발
> 미세먼지 예측 시도 연구 중
향후
미세먼지 농도 증가는 물리적인 현상 뿐만 아니라 화학적인 현상을 동반하고 있기 때문에 얼마나 정량적으로 표현하는지 & 화학반응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것으로 보임
대기정체에 의한 에어로졸 농도 이상 현상 분석 연구 수행 시 대기정체를 포함한 여러가지 기후변동성을 포함시키는 것이 필요함